부산시가 청년의 자산 형성과 자립을 돕기 위해 시행하는 대표 정책, 부산청년기쁨통장.
2025년 기준으로 연령 확대, 인원 증가, 추첨 방식 도입 등 여러 변화가 반영되었기 때문에 정확한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이 글에서 신청기간부터 조건, 지원금, 중도 해지 시 불이익까지 2025년 최신 공고문 기준으로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.
✅ 신청기간
- 2025년 7월 8일(화) 09:00 ~ 7월 23일(화) 18:00까지
- 부산청년 기쁨두배 통장' **홈페이지**를 통한 온라인 신청만 가능합니다. 방문 접수는 받지 않습니다
✅ 누가 신청할 수 있나요? (2025년 모집 공고 기준)
부산청년기쁨두배통장은 매년 모집 공고를 통해 신청자를 모집하며, 2025년 공고일(2025년 7월 1일)을 기준으로 다음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부산 거주 근로 청년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. 신청 전에 아래 자격 요건을 꼼꼼히 확인해 주세요.
- 거주지: 주민등록 기준으로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청년. (신청일 현재 기준)
- 연령: 만 18세 이상 만 39세 이하 청년 (예: 2025년 기준, 1985년 1월 1일 ~ 2007년 12월 31일 출생자)
- 소득: 청년 본인의 세전 월 소득이 3,589천 원(기준 중위소득 150%) 이하인 자.
- 건강보험료 납부액으로 판단: 직장가입자 127,230원 이하, 지역가입자 58,386원 이하 (노인장기요양보험료 제외)
- 주의: 본인이 건강보험료 납부자가 아닌 경우 (예: 피부양자 등) 신청이 불가합니다. 반드시 본인이 건강보험료를 납부하고 있어야 합니다.
- 근로: 현재 근로 중인 자 (아래 조건 중 하나 이상 충족)
- 4대 보험 중 1개 이상 직장 가입자
- 본인 명의 사업자등록증을 소지한 자영업자
- 일용직 근로자의 경우, 공고일 전월 및 당월 합산 20일 이상 근무를 충족해야 합니다.
✅ 모집 인원 및 선발 방식
- 모집 인원: 총 6,000명
- 선발 방식: 선착순 아님, 100% 무작위 추첨제
- 접수 순서와 무관
- 조건 충족자 중 전산 무작위 추첨 진행
- 추첨 결과 발표: 2025년 7월 말 예정
(개별 문자 및 홈페이지 공지)
📌 조건을 모두 충족해도 무조건 선발되는 것은 아닙니다. 추첨에서 탈락할 수 있습니다.
✅ 저축 및 지원 내용
구분 | 본인 저축액 (월 10만원 기준) | 부산시 지원액 (월 10만원 기준) |
총 적립액 (이자 제외)
|
24개월 | 2,400,000원 | 2,400,000원 | 4,800,000원 |
36개월 | 3,600,000원 | 3,600,000원 | 7,200,000원 |
위 표에서 보듯이, 예를 들어 매월 10만 원씩 36개월(3년)을 꾸준히 저축하면, 본인 저축액 360만 원에 부산시 지원금 360만 원이 더해져 총 720만 원을 모을 수 있게 됩니다. 여기에 은행 이자까지 붙으니, 훨씬 빠르게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이죠! 이렇게 모인 목돈은 여러분의 꿈을 현실로 만드는 든든한 씨앗이 될 것입니다.
✅ 의무 사항 (만기 수령 위해 반드시 이행해야 할 조건)
- 저축 유지: 매달 10만 원 저축 필수 (연체 3회 이상 시 중도해지)
- 근로 유지: 고용보험 자격 유지 필요 (3개월 초과 실직 시 해지)
- 금융교육: 연 1회 총 3회(3년) 이수 필수
- 거주 유지: 부산시 계속 거주 (타 지역 전출 시 해지 처리)
❌ 중도해지 시 주의사항
중도해지 사유가 발생하면 본인 저축금만 돌려받고, 부산시 지원금은 모두 반환됩니다.
중도해지 주요 사유:
- 매월 납입 누락 3회 이상
- 고용보험 상실 상태가 3개월 이상 지속
- 금융교육 미이수
- 부산시 외 지역으로 전출
- 타 자산형성지원사업(내일저축계좌, 청년내일채움공제 등) 중복 참여
🚫 시 지원금은 단 한 번도 지급되지 않으며, 원금만 반환되니 유의하세요.
부산청년기쁨통장은 청년들이 스스로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부산시 대표 자산형성 정책입니다.
단순한 저축을 넘어서, 금융교육과 근로 습관까지 함께 지원하기 때문에 제대로 활용한다면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